본문바로가기

(재)전남인재평생교육진흥원

알림마당

 

언론보도

존폐 위기 몰린 대학, 평생교육 플랫폼 전환으로 새 기회 모색을

관리자 조회수 : 417
존폐 위기 몰린 대학, 평생교육 플랫폼 전환으로 새 기회 모색을 1
존폐 위기 몰린 대학, 평생교육 플랫폼 전환으로 새 기회 모색을 2

디지털 시대+초고령 사회 = 대학의 평생교육
제주도서 열린 2022 Life Conference
평생교육 분야 첫 국제학술대회


"지방교육교부금 일부, 대학 평생교육에 투입해야"
"대학의 평생교육 기능 강화와 평생교육 체제 전환이 필요합니다. 그게 바로 대학 교육의 미래입니다."


제주도에서 이틀간 열린 '2022 Life Conference'는 최근 세계적 추세인 평생교육의 중요성을 공유하고 이를 국내 대학에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장이 됐다.


학령인구 절벽을 맞이해 사회 혁신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주체에서 평생교육 플랫폼으로 대학의 역할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언도 쏟아졌다.


첫날인 26일 오후 특별대담에서 교육 전문가들은 기족 대학 사회 주류의 '기독권 내려놓기'가 평생교육의 국내 정착 여부를 가를 것이라고 봤다.


김헌영 강원대 총장은 "대학은 변화가 상당히 더디고, 변화를 좋아하지 않는다"면서 "(대학들이) 더 분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우종 청운대 총장도 "평생교육이 앞으로 대학이 가야 할 길이라고 느낀다"면서도 "학내 기득권의 저항이 문제가 될 것"이라고 했다.


특히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일부가 평생교육을 위해 사용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장래에 평생교육이 정규교육보다 중요해질 수 있다는 점에 공감하면서 인식 제고와 경쟁력 향상을 위한 중앙 정부 차원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고석규 전남인재평생교육진흥원장은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을 일부평생교육으로 전환해 사용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현안"이라며 "반드시 이뤄져야 할 제도 개선"이라고 강조했다.


장박원 매일경제신문 논설위원도 “정부가 큰 틀에서 개혁하고자 하는 교육·노동·연금 개혁이 전부 평생교육이라는 키워드로 연결돼 있다"고 밝혔다.


기조강연에서 김도연울산공업학원 이사장(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디지털 문명 시대에서 인간은 평생에 걸쳐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게 됐다"며 사회가 요구하는 대학의 모습이 평생
교육의장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데이비드 아초아레나 유네스코평생학습연구소장도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배경에 무관하게 전 연령층에 유연한 배움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평생교육의 확대·강화를 촉구했다.


둘째 날은 세계 각지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와 공유 등 사례 연구가 이뤄졌다. 공통 세션으로 진행된 '한국형RPL 적용 워크숍'에서 루드두브콧유럽선행학습인증센터장은 “유럽은 개인의 현장 직무경험 등을 공식적인 학습경험으로 인정해 학습과 직업세계를 지속적으로 연결하는 순환적 인증체계가 구축됐다"고 소개했다.


평생교육을 지역과 연계한 사례인 부산 동서대의 '에버그린 프로젝트'도 공유됐다.


지역 (부산) 시니어 (퇴직자와 대학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연영상 분야)을 연계해 재교육 시기니어들이 지역 홍보 영상 등에서 재능 활용해 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한편 이번 콘퍼런스는 매경미디어그룹과 교육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주최·주관으로 제주도 해비치호텔앤드리조트에서 1박2일 일정으로 열렸다.


평생교육 관련 국내 첫 국제학술대회로, 서양원 매일경제신문대표 최성부 교육부 평생직업교육국장, 강대중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 김제주도 정무부지사와 7개국 평생희현교육 전문가와 교육계 관계자 150여명이 참석했다.

/출처 : 매일경제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022338